![]() 무조건 항복한다는 일왕의 육성방송을 듣고 있는 서울의 일본인들. (1945년 8월15일) ![]() 8.15 조국 해방은 옥중 독립투사들에게 더욱 감격스러운 것이었다. 사진은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서 풀려 나와 해방 만세를 외치는 출옥 애국인사들과 이를 환영하는 시민들의 모습이다. (1945년 8월15일) ![]() 조국의 해방을 환호하는 서울역 광장과 남대문로 일대의 인파 만나는 이마다 서로 부둥켜 안고 목이 터져라 해방 만세를 외치면서 밤이 되어도 흩어질 줄을 몰랐다. ![]() 1945년 광복 ![]() 일제로부터의 해방을 축하하기 위해 전남 광양 서국민학교 교정에 모인 군민들. (1945년 8월15일) ![]() 전남 광주에서의 8.15해방 경축 퍼레이드 ![]() 1945년 8월15일 美, 英, 佛, 蘇 등 전승국 언론들과 미국에서 발간되던 독립신문은 日帝로부터의 한국 해방을 "테러와 억압에 대한 승리"로 보도하면서 앞으로의 향방에 대한 분석기사까지 곁들였다. ![]() 전국에 메아리친 해방의 기쁨 조국해방은 방방곡곡 어디라 할 것 없이 기쁨과 감격의 물결을 이루게 했다. 사진은 1945년 8월16일 전남 광양읍 목성리에서 주민들이 해방을 축하하며 환호하고 있는 모습이다. ![]() 시민환영 받는 몽양 여운형 선생 45년8월16일 휘문고 교정에서 연설하기에 앞서 시민들의 환영을 받고 있는 몽양(앞쪽 가운데). ![]() 몽양 여운형(呂運亨) 1945년8월16일 해방직후, 휘문학교에서 해방의 기쁨을 전하는 여운형. ![]() 몽양 여운형(呂運亨) 1945년8월16일 해방직후 휘문고보 교정에서 연설하는 몽양. ![]() 백범 김구선생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환국 . 해방된 조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중경을 떠나는 김구일행. 왼쪽으로부터 이청천장군, 안미생(김구선생의 자부) 김구, 그리고 그뒤에 윤경빈 ![]() 임시 정부 귀국 환영 꽃전차 ![]() 36년만의 광복을 맞은 임시정부의 김구주석이 감격어린 표정으로 귀국 동포의 뜨거운 영접을 받았다. ![]() 임정귀국 축하행진 임시정부의 귀국을 맞아 서울시내 곳곳엔 환영아치가 세워졌고 학생들의 축하 시가행진도 잇달으면서 임정에 대한 국민적 여망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갔다. ![]() 조국으로 돌아온 임정요인들 왼쪽 세번째가 법무위원이었던 이시영다음이 주석 김구, 부주석 김규식, 외무부장 조소앙, 내무부장 신익희 순이다. ![]() 총독부 광장의 게양대에서 일장기가 내려지고 있다. (1945년 9월9일) ![]() 조선총독이 주한미군사령관에게 항복한 직후인 1945년 9월9일 오후 철수하고 있는 일본군 ![]() 해방후 국민학교 첫개교 해방 약 한달 뒤인 1945년 9월24일 전국에서 국민학교 교육이 일제히 시작되어 빼앗겼던 우리말 우리글을 가르치는 감격을 맛보았다. 사진은 첫 수업 ![]() 해방 직후의 시골 국민학교 교실 진흙 화로 둘레에 배치한 간이 책상에 옹기종이 모여앉아 진지한 얼굴로 되찾은 우리 글을 익히고 있다. 사진은 강원도의 한 산골. ![]() 해방경축 종합경기대회 1945년 10월27일에 열린 이 대회는 해방후의 첫 전국체전으로 태극기를 든 손기정씨가 감격에 벅차 눈물을 닦고 있다. ![]() 해안경비대의 해방경축행진 창설 당시 3백명에 불과했던 경비대가 대원 1000여명의 해안경비대로 발전 해방1주년 경축행진을 벌이고 있는 모습이다. (1946년 8월15일) 다시는 외세의 침탈로 조국산하를 부끄럽지 않게 해야겠습니다. |
'희귀영상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옛날을 생각나게 하는 ,,, (0) | 2011.09.05 |
---|---|
추억의 아이들 '땅따먹기' 현장 (0) | 2011.09.05 |
☆ 대담했던 한국 아낙네들 - 톱레스 치마 저고리 ☆ (0) | 2011.08.10 |
1970 ~80년대 광고들... (0) | 2011.08.10 |
추억의 삼륜 용달차... (0) | 2011.08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