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C에 남겨진 개인정보 제거하기
익스플로러를 이용해 돌아다닌 www 사이트의 목록과 그 웹 페이지의 각종 콘텐츠는 고스란히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. 이렇게 저장된 파일을 통해서 사용자가 어떤 사이트를 언제 연결하고 거기서 무엇을 봤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. 아침부터 저녁까지 누가 나를 미행한다면 그 마음이 어떨까? 익스플로러로 돌아다닌 인터넷 흔적을 보는 것은 현실 세계에서의 미행이나 다를 바 없다. 이러한 정보를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. |
인터넷 사용 내역 삭제하기
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삭제하기
② ‘즐겨찾기’에는 익스플로러에서 즐겨찾기로 등록된 사이트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. ‘My Documents’는 내문서다. 우선 즐겨찾기를 더블 클릭해본다.
③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목록이 폴더와 사이트 URL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. 이 모든 파일을 삭제하자. 삭제할 때는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고 바로 삭제되도록 ‘Shift’를 누른 상태에서 ‘예’를 클릭한다.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1-1.jpg)
익스플로러의 쿠키 기록 삭제하기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2.jpg)
익스플로러로 연결한 사이트 정보 삭제하기
② 그리고 ‘History’를 더블 클릭한다. 익스플로러를 이용해 연결했던 사이트 목록이 날짜별로 정리되어 있다. 이 목록도 모두 삭제한다.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3.jpg)
인스턴트 메신저에 기록된 정보 삭제하기
② 사용자 계정에서 ‘내 네트워크 암호 관리’를 실행하고 ‘Passport’라고 씌어진 항목을 모두 제거한다. 이곳에 기록된 아이디와 암호가 MSN 메신저에 로그인할 때 사용된다.
③ 그 외에 MSN 메신저에는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이 제공된다.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메신저로 대화한 내용이 파일로 저장된다. 이 파일이 저장된 폴더의 위치를 찾아서 해당 파일을 모두 삭제해준다.
④ MSN 메신저로 다운로드 받은 전송 파일도 모두 제거해준다. 이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찾아서 말끔하게 삭제해준다.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4.jpg)
개인 데이터 삭제하기
만일, 이 같은 방법으로 일일이 삭제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계정을 통째로 삭제하여 개인 정보를 쉽게 삭제할 수 있다. 단 이렇게 계정을 삭제한 후에는 혹시나 남아있을 지 모를 하드디스크의 각종 개인 파일을 찾아서 추가로 삭제해줘야 한다.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5.jpg)
사용자 계정 정보 삭제하기
② 삭제할 계정을 클릭한다. 기존에 사용하던 모든 계정을 이러한 방법으로 삭제해주고 새 계정을 하나 만들어두는 것이 가장 좋다.
③ '계정 삭제'를 클릭한다.
④ 계정을 삭제함과 동시에 그 계정 사용자가 사용하던 바탕화면, 내문서, 즐겨찾기, 전자메일 메시지와 각종 설정을 통째로 삭제하려면 이때 파일 유지가 아닌 '파일 삭제'를 클릭한다.
⑤ 모든 파일이 삭제되었다. 이제 '계정 삭제'를 클릭한다.
⑥ 계정이 삭제되었다면 이러한 방법으로 다른 사용자 계정도 모두 삭제한다. 그리고 새로운 계정을 하나 생성해준다.
⑦ 사용자 계정을 삭제한 후에는 내가 개인적으로 설치했던 각종 프로그램도 삭제한다. 특히 보안 유틸리티와 회사에서 설치해주지 않은 모든 프로그램은 삭제한다. 프로그램을 삭제할 때는 '제어판→프로그램 추가/제거'를 이용한다.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6.jpg)
각종 개인 자료들 삭제하기
② 일부 파일은 내문서가 아닌 다른 폴더나 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. 이러한 경우에는 윈도우의 '시작→검색' 기능을 이용해서 확장자가 MP3, JPG, AVI 등으로 된 파일을 찾아서 삭제한다.
③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보급이 늘어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파일이 컴퓨터에 저장된 경우가 많다. 이들 파일도 잊지 말고 모두 삭제해야 한다.
④ 사실 이렇게 파일을 삭제하고 휴지통을 비우더라도 삭제된 파일을 복구해주는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금세 파일 복구가 가능하다. 보안상 외부에 절대 유출돼서는 안되는 파일인 경우에는 파일을 복구할 수 없도록 완벽하게 제거해주는 BCWipe와 같은 파일 삭제 유틸리티를 이용해야 한다. 이러한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완벽하게 파일을 삭제한다.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7.jpg)
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정보
각종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도 삭제해준다. 이러한 정보는 'C: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Application Data'에 기록돼 있다. 이곳에 기록된 모든 파일은 삭제한다. 또 ‘C: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Local SettingsApplication Data'에서 'Identities', 'Microsoft' 등의 폴더도 삭제한다. 'Identities' 폴더에는 전자우편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으며, 'Microsoft'에는 아웃룩의 메시지와 주소록 등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.
공인인증서 삭제하기
사용자 정보를 삭제할 때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것이 공인인증서다. 인증서도 삭제를 해줘야 한다. 인증서를 삭제하려면 은행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'인증서 관리' 메뉴의 '인증서 삭제'를 이용한다. 혹은 공인인증서 홈페이지인 'www.signgate.com'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.
![](http://image.ahnlab.com/comm/info/secu_060608_08.jpg)
'컴퓨터 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핸드폰에서 동영상 올리는 방법 (0) | 2011.02.22 |
---|---|
바이러스 관련 이상 증상 BEST 5 (0) | 2011.02.14 |
☆ 엑셀(EXCEL) 배우기 (0) | 2011.01.21 |
각국 문장 번역기 (0) | 2011.01.20 |
태그연습장&색상표 (0) | 2011.0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