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진 독점 제공 = 국립 제주대 지리교육학과
입력 : 2007.06.21 00:53 / 수정 : 2007.06.21 09:55
- 1945년 8월 말과 9월 초, 미 해군이 군사적 목적으로 서울과 부산, 인천, 군산(충남
- 서천군 장항 포함), 진주, 마산 등을 촬영한 사진 1056장이 20일 조선일보에 독점
- 공개됐다. 이 사진은 데이비드 네메스(D Nemeth) 미국 톨레도대학 교수가 1980년대
- 후반 제주대에 기증한 것으로, 현재까지 제주대 지리교육학과(주임교수 손명철)가
- 소장하고 있었다.
모두 인화한 사진이며, 크기는 소형(가로 세로 각 23㎝)과 대형(가로 48, 세로 23㎝)이 - 있다. 광복 직후인 1945년 8월 28~29일, 그리고 같은 해 9월 9~10일에 촬영했다. 서울
- 을 제외하고 촬영지는 모두 항구다. 일본 패망 이후 한국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
- 주요 지역을 우선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. 사진 한 편에 촬영 날짜와 지역 등을 적었는데,
- 서울이나 인천을 ‘KEIJO’와 ‘JINSEN’ 등 일본식 발음으로 적었다. 3000m 상공에서 90도
- 각도로 연직(鉛直·vertical) 촬영한 것이 대부분이지만, 일부는 대상지를 비스듬히
- 찍었다(경사사진·oblique).
오상학 제주대 교수(지리학)는 “우리 손으로 촬영하지는 않았지만 대한민국 주요 지역을 - 본격적으로 항공 촬영한 최초의 사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”고 했다. 일제 강점기,
- 일본 당국도 항공사진을 찍었지만 서울 도심 등에 대해 단편적으로 몇 커트 촬영했을 뿐이다.
국토지리정보원 역시 지도제작을 목적으로 한 항공사진을 가지고 있지만, 1966년 네덜란드 - 와 ‘항공사진 측량 사업 협정’을 맺은 이후 촬영한 사진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. 제주대 지리
- 교육학과측은 이 밖에도 일본 규슈와 혼슈, 오키나와, 대만과 필리핀 등지를 미군이 1944~
- 1945년 항공 촬영한 13상자분의 사진도네메스로부터 기증받아 보관 중이라고 밝혔다.
- ▲시청과 광화문 일대
-
1945년 9월 9일 촬영한 서울 도심이다. 덕수궁 같은 고궁들, 서울시청사, 서울시의회 건물
-
외에 현재까지 남아 있는 건물들은 손에 꼽을 정도다.
- ▲동대문과 청계천 일대
-
동대문(흥인지문)과 주변 청계천 모습. 사진 위쪽이 남쪽이다. 올 11월 철거 예정인 동대문
-
운동장의 옛 모습을 보노라면“여기는 성동원두(城東原頭·성 동쪽 들판이라는 뜻으로 이
-
지역의 옛 이름)…”로 시작되던 라디오 중계 방송이 들릴 것만 같다.
- ▲여의도 일대
-
서울 여의도와 주변 풍경. 허허벌판 같은 섬에 비행장 시설만이 보인다.“ 떴다 보아라 안창
-
남의 비행기, 내려다 보아라 엄복동의 자전거…”하던 유행가의 발원지가 됐던 이 비행장은
-
1916년 개설됐다. 최초의 한국인 비행사 안창남은 1922년 12월 이곳에서 모국 방문 기념비행을 했다.
- ▲장항읍 장항제련소 일대
- 충남 서천군 장항 풍경. 장항의‘상징’인 전망산(일명 굴뚝산) 장항제련소 굴뚝이 보인다.
- 1936년 문을 연 장항제련소는 우리나라 비철제련산업의 역사를 시작한 곳이다. 현재는
- ‘LS니꼬동제련’이라는 회사가 이곳에서 운영되고 있다. 사진에 보이는 굴뚝은 1979년
- 철거됐으며,현재 있는 것은 같은 해에 비슷한 높이로 다시 세운 것이다. 전북 군산이
- 고향인 시인 고은은“나를 까치발 디딘듯 부쩍 키운 것은 강 건너 장항제련소 굴뚝이었다.
- 그 굴뚝의 기나긴 연기였다”고 회상하기도 했다
'희귀영상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0년의 우리 문화 (자료로 가치있음) (0) | 2010.01.19 |
---|---|
⊙100년전 우리나라 사회생활 (0) | 2010.01.19 |
1930년대 연애 십계명 (0) | 2010.01.18 |
국보1호 - 숭례문 (0) | 2010.01.18 |
옛날 통장 아시나요 (0) | 2010.01.18 |